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한라산 정보, 등산코스

by wooahmama 2024. 6. 27.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한라산 정보

<환상의 섬 제주도 한 가운데 우뚝 솟은 대한민국의 영산, 한라산>  제주도는 제3기 말~제 4기 초 우리나라의 지각의 역사에서 비교적 최근에 형성된 화산섬으로 수차례의 화산활동에 의해 용암이 분출되며 형성되었습니다. 한라산(한라산국립공원)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중앙부에 있는 해발 1,947.06m, 면적 약 1,820 km2의 화산으로 제주도의 면적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입니다. 전체적으로 경사가 완만한 순상화산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정상부에는 경사가 급한 종상화산이 위치하는 이중화산의 형태가 나타납니다. 대부분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잇으며, 제주도 중앙에서 산줄기가 동서로 뻗어 있습니다. 남쪽은 경사가 심한 반면 북쪽은 완만하고 동서방향으로는 비교적 지대가 높고 평탄합니다. 정상에는 둘레 약 3km, 지름 500m의 화구호인 백록담이 있으며, 주위 사방에 흙붉은 오름, 사라오름, 성널오름, 어승생오름 등 360여 개의 기생화산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또 해안지대에는 폭포와 주상절리 등 아름다운 화산지형이 펼쳐지고, 해발고도에 따라 아열대, 온대, 냉대 등 1,800여 종에 달하는 식물이 자생하여 고도에 따른 식생의 변화가 뚜렷합니다. 봄의 철쭉, 진달래, 유채, 가을의 단풍, 겨울의 설경과 운해가 절경이며, 곳곳에서 한라산의 상징인 노루를 볼 수도 있다고 합니다. 한라산은 능히 은하수를 잡아당길 만큼 높은 산이라는 뜻을 가졌습니다. 예부터 신선들이 산다고 해서  영주산이라 불리기도 했고 금강산, 지리산과 더불어 우리나라 삼신산의 하나로 여겨져 왔습니다. 백록담이라는 이름은 흰 사슴이 물을 먹는 못이라는 뜻에서 지어졌다고 전해집니다. 산자락 곳곳이 오름 또는 악이라 부르는 다양한 크기의 측화산이 분포해 있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한라산 일대는 천연보호구역으로서 천연기념물 제 182호로 지정되어 있고, 1970년 3월 24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2007년 6월 27일 유네스코 제 31차 세계유산위원회 총회에서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게자연유산으로 등록되었습니다.

  • 설립 : 1970년 국립공원 지정
  • 동식물군 :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070-61
  • 문의 및 안내 :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064-710-3945)
  • 입장료 : 무료

한라산 등산코스

한라산을 등산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한라산 백록담까지 향하는 코스는 사전 예약이 필수이며, 윗세오름 코스는 별도의 예약 없이 입산 시간만 맞추면 등반이 가능합니다.

  1. 한라산 백록담 (성판악 코스, 관음사 코스)
  2. 윗세오름 (영실 코스, 어리목 코스, 돈내코 코스)
  • 백록담 가는 코스는 성판악 코스, 관음사 코스 두 가지인데, 성판악은 비교적 완만한 코스이나 대부분이 숲길로 이루어져 다소 지루할 수 있고, 관음사 코스는 가파르나 오르면서 보이는 풍경이 아름다워 개인에게 조금 더 맞는 코스로 선택하셔서 등반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성판악 코스는 정산까지는 편도 4시간 30분 정도이며, 점심먹고 쉬는 시간까지 포함하면 왕복 9시간 30분 정도 소요됩니다. *개인의 속도마다 다르니 참고만 해주세요.
  • 영실탐방로 (윗세오름 1시간 30분, 남벽분기점 2시간 30분) - 5.8Km : 윗세오름 코스는 난이도가 낮아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등산로입니다. 총 소요시간은 영실탐방로 입구 기준 3~4시간이며, 난이도가 쉽고 길이 잘 정비되어 있어 남녀노소 모두 트래킹하기 좋은 코스입니다. (영실탐방로 주차장은 '영실 매표소', '오백장군과 까마귀'를 검색하시면 됩니다. 차량을 주차하고 등산을 바로 시작할 수 있는 곳은 '오백장군과 까마귀(영실 탐방로 입구)'입니다.)
  • 한라산탐방 예약시스템 (jeju.go.kr)
 

한라산탐방 예약시스템

실시간 탐방로 정보 확인 하시고 안전한 산행 되세요. <!-- 064-710-9950 -->

visithalla.jeju.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