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안동 하회마을, 관람정보, 하회 별신굿 탈놀이

by wooahmama 2024. 7. 4.

세계문화유산 <안동 하회마을>

경상북도 안동에 위치한 하회마을은 처음에는 허씨와 안씨 중심의 씨족마을이었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점차 이들 두 집안은 떠나고 풍산류씨(豊山柳氏)가 중심이 되어 터를 닦아 그 후 600년 동안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집성촌입니다. 조선시대의 대유학자 겸암 류운룡 선생과 서애 류성룡 선생이 태어난 곳이기도 한 안동 하회마을은 1999년 4월 21일에는 방한 3일째였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한국 전통의 고장으로서 방문하여 더욱 유명해졌습니다. ’하회(河回)’라는 이름은 마을 주위를 감싸 안고 흐르는 낙동강의 모습이 동쪽으로 흐르다가 S자형을 이루면서 ‘회(回)‘자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졌습니다. 마을 중심부에는 류씨들의 집인 큰 기와집이 자리 잡고 있으며 원형이 잘 보존된 초가집들이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습니다. 마을 앞쪽으로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과 멋들어지게 깎아지른 부용대, 끝없이 펼쳐진 백사장, 울창한 노송숲이 절경을 이룹니다. 풍수지리학적인 관점에서는 마을이 물 위에 떠 있는 연꽃의 형상과 같다고 하여 길지(吉地)로 꼽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과거 이 마을에서는 담장을 만들 때 돌을 섞지 않았다고 하는데, 마을이 물에 가라앉지 않기를 바라는 풍수의 관점에서 그렇게 한 것이라고 합니다. 현재 하회마을에는 100여채의 전통 한옥이 있는데, 그 가운데 12채가 보물 및 중요민속자료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관람 정보

하회마을에는 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는 봉정사, 고산서원, 귀래정, 계명산 자연휴양림, 학가산 자연휴양림, 와룡산 등 다양한 볼거리가 많습니다. 2010년 7월 31일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이 '한국의 역사마을'로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으며, 두 마을의 등재로 한국의 세계유산은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이상 1995), 창덕궁, 수원 화성(1997),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이상 2000), 그리고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2007), 조선왕릉(2009)에 이어 통산 10번째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하회마을의 대표적인 먹을거리는 안동소주와 유명한 서원이 많아 생기게 되었다는 헛제삿밥, 안동 간고등어, 안동 국시 등이 있습니다. 하회마을은 대한민국의 전통문화와 건축양식 모두를 경험할 수 있는 귀중한 장소로 남아있습니다.

  문의 및 안내 : 하회마을 관광안내소 054-852-3588, 안동하회마을 관리소 054-854-3669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종가길 2-1
• 이용시간 : 하절기(4~9월) 09:00~17:30, 동절기(10~3월) 09:00~16:30
• 주차 : 가능 (마을 입구 주차장)
• 입장료 : [일반] 어른 5,000원 / 청소년&군경 2,500원 / 어린이 1,500원 / [안동시민] 어른 1,000원 / 청소년&군경 500원 / 어린이 400원 / [무료] 만 65세 이상, 장애 1~3급 본인 및 보호자 1인, 장애 4급 본인 등
• 장애인 주차 : 장애인 주차 있음
• 접근로 : 출입구까지 턱이 없어 휠체어 접근 가능
• 휠체어 : 대여가능 (관광안내소)
• 보조견 동반 가능
• 오디오 가이드 있음
• 유모차 : 대여가능 (관광안내소)

 

800년의 역사를 가진 <하회 별신굿 탈놀이> 

<하회 별신굿 탈놀이>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에서 12세기 중엽부터 상민들에 의해서 연희되어온 탈놀이입니다. 정월 초이튿날에서 보름 사이에 주민들이 병을 앓지 않고 편안하게 지내기를 기원하며 서낭신( 神)을 위안하는 부락제를 마친 후 벌이는 가면극입니다. 이 부락제는 반드시 마을 주민들이 지내게 되어있는데, 서낭신이 대제를 원하는 경우, 10년마다 주민들이 대제를 지내지 않으면 서낭신이 벌을 내려 병자가 생길까봐 드린다는 설이 있습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 69호로 지정되어 있기도 한 이 탈놀이는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기 위해 마을굿의 일환으로 연희되었으며, 별신굿이란 '별나다', '특별나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별난 굿 또는 특별한 큰 굿을 의미합니다. 서민들의 놀이였던 ‘하회별신굿탈놀이’와 더불어 선비들의 풍류놀이었던 ‘선유줄불놀이'가 현재까지도 전승되고 있어, 하회마을에서는 하회별신굿탈놀이를 상설공연으로 진행하고, 매년 가을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진행합니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세계를 하나로 만드는 문화의 춤"을 주제로 5대양 6대주 세계 각국의 탈과 탈춤을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여행의 장을 마련합니다. 탈과 탈춤은 인간의 삶과 꿈, 희망을 상징하는 인류의 가장 일반적이고도 보편적인 문화입니다. 

 

<2024안동국제춤페스티벌> 정보

  • 일시 : 2024.09.27~10.06 (10일간)
  • 장소 : 중앙선 1942안동역, 원도심, 탈춤공원 일원
  • 주관 : 한국정신문화재단
  •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경상북도, 안동

http://www.maskdance.com/2022/main.asp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유네스코지정 세계유산 하회마을행사 한국의 미와 전통이 살아있는 역사마을에서 펼쳐지는 축제! 가장 한국적인 곳, 수려한 자연경관이 드리워진 곳에서                                  

www.maskdanc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