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남한산성 개요
남한산성은 조선시대의 산성으로 기원은 통일신라 문무왕 때 쌓은 주장성(672)의 옛 터를 활용하여 조선 인조 4년(1626)에 대대적으로 구축하였습니다. 대한민국 서울의 중심부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남한산성은 평균 고도 해발 480m 이상의 험준한 산세를 이용하여 방어력을 극대화한 곳으로, 둘레 12km에 이르며 산위에 도시가 있을 수 있을 만큼 넓은 분지이기 때문에 백성과 함께 왕조가 대피할 수 있는 조선 왕실의 보장처(전쟁 시 임금과 조정이 대피하는 곳)였습니다. 또한 남한산성은 성곽을 쌓은 축성술 면에서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계속된 전쟁을 통해 동아시아의 한국(조선), 일본(아즈치, 모모야마시대), 중국(명나라, 청나라) 사이에 광범위한 상호 교류가 이루어진 결과입니다. 이 기간 동안 유럽의 영향을 받은 화포의 도입이 이루어졌고, 이런 무기 체계의 발달은 남한산성의 성곽 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남한산성은 총 12.4km에 달하는 성곽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남한산성의 성곽을 유심히 살펴보면 돌의 종류나 성곽을 쌓은 모습이 제각기 다릅니다. 이것은 남한산성이 어느 한 시대에 생긴 것이 아니라 기록상 통일신라시대에 쌓였던 주장성을 기초로 하여 조금씩 증축되어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는 증거입니다. 또한 병자호란 등의 국제전쟁을 통해 동아시아 무기 발달과 축성술이 상호 교류한 탁월한 증거이자 7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는 성곽축성기술의 모습을 발달단계별로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입니다. 남한산성은 다른 산성들과는 달리 산성 내에 마을과 조요, 사직을 갖추었습니다. 전쟁이나 나라에 비상이 있을 때, 임금은 한양도성에서 나와 남한산성 행궁에 머무르고, 종묘에 있는 선조의 신주를 옮길 수 있는 좌전을 마련하여 조선의 임시수도로서 역할을 하였습니다.
- 대표전화 : 031-8008-5115
남한산성 도립공원
남한산성 도립공원은 경기도 광주시, 하남시, 성남시에 걸쳐 위치한 아름다운 자연과 역사적 유산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대한민국의 명소입니다. 남한산성 내 소나무 숲은 수도권 최대의 소나무 군락으로 보존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보기 드문 이 아름다운 소나무 숲은 일제강점기에 전쟁 물자로 확보하고 땔감으로 무분별한 벌목이 이루어져 산성리 마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금림조합을 결성하여 소나무 숲을 가꾸고 보전하였기 때문인ㅂ니다. 일제강점기 남한산성에는 항일운동의 근거지 중 하나로 성벽이며, 행궁이 심하게 훼손되고 남한산 초등학교 교사가 전소가 돼 전쟁의 상처가 깊었습니다. 전쟁이 끝난 직후인 1954년 5월 10일 남한산성은 한국에서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행궁 터에 남한산성과 관련된 문화유산과 물산을 전시하는 경기도 물산 진열관이 지어졌습니다. 1960년대 후반들어 경기도는 남한산성을 도립공원으로 지정하는데 필요한 남한산성 기초조사 실시 및 도립공원 조성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1971년 3월 17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체계적인 관리가 시작되었습니다. <자연공원법>에 의거 자연공원 내 자연자원을 10년마다 조사하고 있으며, 자연생태계 조사자료 및 공원관리실태 자료의 DB구축으로 생태계보전의 지속적인 분석과 학술연구 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 주요볼거리 : [남한산성 성곽] 약 12km의 성곽으로, 산 정상에서의 아름다운 경관과 함께 역사적 유물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행궁] 왕이 피신하던 임시 거처 [수어장대] 성곽 내 가장 높은 망루로, 전투 시 지휘소 역할 [연무관] 군사 훈련을 하던 곳 [산성마을] 전통 한옥 체험 및 지역 특산물 구매 가능
- 개방 시간 : 연중무휴, 24시간 개방 (주요 시설은 특정 시간에 운영합니다.)
- 입장료 : 무료 (일부 시설 유료)
- 교통편 : 서울 지하철 8호선 산성역에서 버스(9번, 52번 등) 또는 택시 이용 / 주차장 이용 가능(주차요금 있음)
- 편의시설 : 식당 및 매점(성곽 주변과 산성마을에 다양한 식당과 매점 있음)
- 화장실 : 주요 지점마다 있음